본문 바로가기
속닥속닥/이것저것

확장자

by Letssa 렛사 2016. 10. 13.

<목차>

 

1. 확장자

2. 각 확장자의 특징

 

 

1. 확장자

 

의미 - 파일 종류를 구별하기 위해 파일명의 마침표 뒤에 붙이는 문자. 확장자마다 각각의 특징이 있다.

 

확장자를 나누는 이유 - 파일 안에 어떤 정보가 들어있는지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확장자를 붙인다.

 

 

2. 각 확장자의 특징

 

(1) AI(Adobe Illustrator)

Adobe 사의 일러스트레이터 저장 확장자이다. Adobe사의 다른 프로그램과 호환이 되며 벡터 형식으로 일반 그래픽과 달리 무한으로 확대/축소해도 화질 변화가 없는 이점이 있다. 작업한 정보를 그대로 저장할 수 있다.

 

(2) EPS(Encapsulated PostScript)

픽셀로 표현되는 비트맵 이미지와 벡터이미지를 동시에 저장할 수 있고 손실률이 낮고, 용량이 적어서 고품질 출력용으로 자주 사용되는 형식이다. 일러스트레이터와 포토샵에서 사용되는 확장자이다.

 

(3) PNG((Portable Network Graphics)

특허 문제로 얽힌 GIF 포맷을 대체, 개선하기 위해 만들어진 무손실 압축 그림파일 확장자로 대부분 GIF보다 압축률이 높다. 이미지의 모든 컬러정보와 보조의 편집 정보를 취급하는 알파채널을 저장하고 투명한 부분까지 저장되는 이점이 있다. 16백만 가지의 색을 저장하는 24비트로 저장하게 되면 파일 용량이 커 실용적이지는 않다. 웹에서 사용가능하다.

 

(4) JPEG/JPG(JointPicture Experts Group)

RGBCMYK모드를 둘 다 지원하고 압축률도 가장 뛰어나 수많은 색상이 들어간 이미지를 다룰 때 주로 사용한다. 파일용량이 작아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이미지 확장자이다. 손실압축 파일로 압축률을 높이면 데이터가 손상된다. 투명부분이 흰색으로 채워진다. 24비트 파일로 저장 가능해 사진을 저장하기에 적합하다.

 

 

(5) GIF(Graphics Interchange Format)

여러 장의 이미지를 한꺼번에 넣을 수 있어 짧은 움직이는 이미지를 만들 때 많이 사용한다. JPEG 확장자에 비해 압축률은 떨어지지만 전송 속도가 빠르고, 이미지의 손상이 적다. 많은 사람들이 사용해 트래픽 부하가 많이 발생하는 사이트에서 용량을 최대한 줄이기 위해 주로 사용한다. 사용할 수 있는 색상이 256가지 색만 사용할 수 있는 제약이 있다. 투명이미지 사용이 가능하다.

 

(6) TIFF/TIF(Tagged Image File Format)

무손실 압축방식 확장자로 png보다 압축용량이 커 데이터 손실을 최소화해 중요한 이미지를 보존해 저장, 전송하는데 많이 사용된다. , 호환성이 좋아 다른 프로그램과 교환하기 위해 사용된다. RGB CMYK 이미지를 24비트까지 지원하고 흑백의 tiff는 다양한 색상으로 편리하게 변환 가능하지만 용량이 커 자주 사용되지는 않는다. 지원 소프트웨어의 수도 gifpng에 비해 적다. 사진의 촬영시간, 노출, 플래시 사용여부 등의 정보인 메타데이터를 담고 있지만 웹에서 사용이 불가하다

728x90